이미지 로딩 중...
AI Generated
2025. 11. 22. · 3 Views
그룹 채팅 고급 기능 완벽 가이드
그룹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필수 고급 기능들을 배워봅니다. 공지사항 관리부터 멤버 멘션, 고정 메시지까지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구현 방법을 초급자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합니다.
목차
1. 공지사항_등록_API
시작하며
여러분이 그룹 채팅 앱을 만들 때 이런 상황을 겪어본 적 있나요? 중요한 메시지가 수많은 채팅 속에 묻혀버려서 팀원들이 놓치는 경우 말이죠.
이런 문제는 실제 개발 현장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활발한 그룹 채팅일수록 중요한 공지사항이 빠르게 위로 밀려 올라가버리고, 나중에 참여한 사람들은 이전 공지를 찾기 어려워합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공지사항 등록 API입니다. 일반 메시지와 구별되는 특별한 메시지를 만들어서,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공지사항 등록 API는 그룹 채팅방에서 중요한 메시지를 특별하게 표시하고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회사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마감 기한이나 미팅 일정 같은 중요한 정보는 모든 팀원이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일 오후 3시 클라이언트 미팅"이라는 메시지가 수백 개의 일상 대화 속에 묻혀버리면 큰 문제가 생기겠죠.
기존에는 중요한 메시지를 여러 번 반복해서 보내거나 별도의 채널을 만들어야 했다면, 이제는 공지사항 API를 통해 한 번만 등록하면 모든 멤버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API의 핵심 특징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관리자 권한 검증을 통해 아무나 공지를 올리지 못하게 합니다. 둘째, 일반 메시지와 구분되는 별도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가 쉽습니다.
셋째, 생성 시각과 작성자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추적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중요한 이유는 공지사항의 신뢰성과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코드 예제
// 공지사항 등록 API 엔드포인트
app.post('/api/groups/:groupId/announcements', async (req, res) => {
const { groupId } = req.params;
const { title, content, userId } = req.body;
// 관리자 권한 확인 - 일반 멤버는 공지를 올릴 수 없습니다
const isAdmin = await checkAdminPermission(groupId, userId);
if (!isAdmin) {
return res.status(403).json({ error: '권한이 없습니다' });
}
// 공지사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const announcement = await db.announcements.create({
groupId,
title,
content,
createdBy: userId,
createdAt: new Date()
});
// 모든 그룹 멤버에게 알림 전송
await notifyGroupMembers(groupId, '새 공지사항이 등록되었습니다');
res.json({ success: true, announcement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그룹 채팅방에 공지사항을 등록하고, 모든 멤버에게 알림을 보내는 것입니다. 마치 학교 게시판에 중요한 공지를 붙이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첫 번째로, 요청에서 받은 정보를 꺼내옵니다. groupId는 어느 그룹에 공지를 올릴지, title과 content는 공지 제목과 내용, userId는 누가 올리는지를 알려줍니다.
그런 다음 checkAdminPermission 함수로 이 사람이 정말 관리자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일반 멤버라면 403 에러를 반환하여 공지 등록을 막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아무나 공지를 올리면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권한이 확인되면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공지사항을 저장합니다.
db.announcements.create를 호출하면서 그룹 ID, 제목, 내용, 작성자, 작성 시각을 함께 저장합니다. 이 정보들은 나중에 공지사항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때, 그리고 누가 언제 작성했는지 확인할 때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notifyGroupMembers 함수를 통해 해당 그룹의 모든 멤버에게 "새 공지사항이 등록되었습니다"라는 알림을 보냅니다. 그리고 성공 응답과 함께 저장된 공지사항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줍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체계적인 공지사항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만 공지를 올릴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고, 자동으로 모든 멤버에게 알림이 가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일이 없어집니다.
또한 작성 시각과 작성자 정보가 기록되어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추적이 가능합니다.
실전 팁
💡 공지사항의 길이 제한을 두세요. 너무 긴 공지는 오히려 읽히지 않습니다. 제목은 50자, 내용은 500자 이내로 제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공지사항 등록 시 XSS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HTML 태그를 제거하거나 이스케이프 처리하세요.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 공지사항 저장 전에 트랜잭션을 사용하세요. 저장은 성공했는데 알림 전송이 실패하는 불일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공지사항 조회 API를 별도로 만들어서 페이지네이션을 지원하세요. 공지가 많아질수록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중요도 레벨을 추가하세요. '긴급', '중요', '일반' 같은 우선순위를 설정하면 사용자가 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공지사항_관리_및_삭제
시작하며
여러분이 공지사항을 올렸는데 오타를 발견했거나,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공지가 남아있는 상황을 상상해보세요. 수정하거나 삭제할 방법이 없다면 참 답답하겠죠?
이런 문제는 실무에서 굉장히 자주 발생합니다. 이벤트 종료 공지가 계속 남아있거나, 잘못된 날짜가 적힌 공지를 고칠 수 없다면 사용자들은 혼란을 겪게 됩니다.
심지어 잘못된 정보로 인한 실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공지사항 관리 및 삭제 기능입니다.
등록만큼이나 수정과 삭제도 중요한 관리 기능입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공지사항 관리 및 삭제 기능은 이미 등록된 공지사항을 수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관리 인터페이스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다 보면 공지사항의 내용이 변경되거나 더 이상 필요 없어지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예를 들어, "11월 20일 서버 점검"이라는 공지가 점검 완료 후에도 계속 보인다면, 사용자들은 현재 서버 상태에 대해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잘못된 공지를 새로운 공지로 덮어버리는 방식을 사용했다면, 이제는 직접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의 핵심 특징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수정 및 삭제 권한을 원 작성자와 관리자로 제한합니다. 둘째, 소프트 삭제(soft delete)를 지원하여 실수로 삭제한 내용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수정 이력을 남겨서 나중에 변경 사항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데이터의 무결성과 관리의 투명성을 보장합니다.
코드 예제
// 공지사항 삭제 API
app.delete('/api/groups/:groupId/announcements/:announcementId', async (req, res) => {
const { groupId, announcementId } = req.params;
const { userId } = req.body;
// 공지사항 정보 조회
const announcement = await db.announcements.findOne({
where: { id: announcementId, groupId }
});
if (!announcement) {
return res.status(404).json({ error: '공지사항을 찾을 수 없습니다' });
}
// 권한 확인 - 작성자 본인이거나 관리자만 삭제 가능
const isAuthorized = announcement.createdBy === userId ||
await checkAdminPermission(groupId, userId);
if (!isAuthorized) {
return res.status(403).json({ error: '삭제 권한이 없습니다' });
}
// 소프트 삭제 - 실제로 지우지 않고 삭제 표시만
await db.announcements.update(
{ deletedAt: new Date(), deletedBy: userId },
{ where: { id: announcementId } }
);
res.json({ success: true, message: '공지사항이 삭제되었습니다'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공지사항을 안전하게 삭제하는 것입니다. 마치 휴지통에 파일을 넣는 것처럼, 완전히 지우지 않고 '삭제됨' 표시만 해둡니다.
첫 번째로, URL에서 groupId와 announcementId를 받아서 어떤 그룹의 어떤 공지를 삭제할지 파악합니다. 그리고 db.announcements.findOne으로 해당 공지사항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없다면 404 에러를 반환합니다. 이렇게 미리 확인하는 이유는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를 삭제하려는 시도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두 번째로, 권한을 검증합니다.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한데요, 아무나 다른 사람의 공지를 삭제할 수 없도록 합니다.
announcement.createdBy === userId로 본인이 작성한 공지인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checkAdminPermission으로 관리자 권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둘 다 아니라면 403 에러를 반환하여 접근을 차단합니다.
마지막으로, 실제 삭제를 진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데이터를 완전히 지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db.announcements.update를 사용하여 deletedAt(삭제 시각)과 deletedBy(삭제한 사람)만 기록합니다. 이것을 '소프트 삭제'라고 하는데, 나중에 실수로 삭제한 것을 알게 되면 복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체계적인 공지사항 관리가 가능합니다. 실수로 삭제해도 복구할 수 있고, 누가 언제 삭제했는지 기록이 남아서 책임 추적이 가능합니다.
또한 권한 검증을 통해 무분별한 삭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 삭제된 공지사항을 조회할 때는 where 조건에 deletedAt: null을 추가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삭제된 공지도 함께 보입니다.
💡 완전 삭제(hard delete) 기능도 추가하세요. 일정 기간(예: 30일) 후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배치 작업을 만들면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공지사항 수정 API도 만들 때는 수정 이력을 별도 테이블에 저장하세요. 누가 언제 무엇을 바꿨는지 추적할 수 있어 분쟁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 삭제 전에 확인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서 보여주세요. "정말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간단한 확인만으로도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고정_메시지_기능
시작하며
여러분이 수백 개의 메시지가 쌓인 그룹 채팅에서 일주일 전에 공유된 중요한 링크를 찾으려고 스크롤을 끝없이 올린 경험이 있나요? 정말 답답하고 시간 낭비죠.
이런 문제는 활발한 그룹 채팅일수록 더 심각합니다. 중요한 자료 링크,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 그룹 규칙 등은 계속 필요한데 시간이 지나면서 찾기 어려워집니다.
새로 들어온 멤버는 아예 이런 정보가 있는지조차 모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고정 메시지(Pinned Message) 기능입니다.
중요한 메시지를 채팅방 상단에 항상 고정시켜서 누구나 쉽게 볼 수 있게 만듭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고정 메시지 기능은 특정 메시지를 채팅방 상단에 고정하여 스크롤과 상관없이 항상 보이게 하는 기능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실무에서 그룹 채팅방에는 항상 참고해야 할 정보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팀 채팅방이라면 "서버 API 문서 링크", "긴급 연락처", "코드 리뷰 가이드라인" 같은 메시지는 모든 팀원이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메시지를 매번 검색하거나 스크롤로 찾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기존에는 중요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다시 보내거나 메모장에 따로 저장해야 했다면, 이제는 고정 기능으로 한 번만 설정하면 항상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고정 메시지의 핵심 특징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여러 개의 메시지를 고정할 수 있지만 보통 3-5개로 제한합니다.
너무 많으면 오히려 혼란스럽기 때문입니다. 둘째, 고정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어서 우선순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셋째, 언제든지 고정을 해제할 수 있어서 유연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정보 접근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코드 예제
// 메시지 고정 API
app.post('/api/groups/:groupId/messages/:messageId/pin', async (req, res) => {
const { groupId, messageId } = req.params;
const { userId } = req.body;
// 관리자 권한 확인
const isAdmin = await checkAdminPermission(groupId, userId);
if (!isAdmin) {
return res.status(403).json({ error: '메시지 고정 권한이 없습니다' });
}
// 현재 고정된 메시지 개수 확인 - 최대 5개로 제한
const pinnedCount = await db.pinnedMessages.count({
where: { groupId }
});
if (pinnedCount >= 5) {
return res.status(400).json({
error: '최대 5개까지만 고정할 수 있습니다'
});
}
// 메시지 고정 정보 저장
const pinnedMessage = await db.pinnedMessages.create({
groupId,
messageId,
pinnedBy: userId,
pinnedAt: new Date(),
order: pinnedCount + 1 // 가장 마지막 순서로 추가
});
// 그룹 멤버들에게 알림
await notifyGroupMembers(groupId, '새 메시지가 고정되었습니다');
res.json({ success: true, pinnedMessage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선택한 메시지를 채팅방 상단에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마치 게시판에 중요한 공지를 맨 위에 붙여놓는 것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URL 파라미터에서 어떤 그룹의 어떤 메시지를 고정할지 정보를 받아옵니다. 그리고 checkAdminPermission으로 요청한 사람이 관리자인지 확인합니다.
일반 멤버가 마음대로 메시지를 고정하면 채팅방이 혼란스러워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만 고정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 두 번째로, 현재 고정된 메시지가 몇 개인지 확인합니다.
db.pinnedMessages.count로 개수를 세어서, 만약 이미 5개가 고정되어 있다면 더 이상 고정할 수 없다고 400 에러를 반환합니다. 고정 메시지가 너무 많으면 사용자 화면을 많이 차지하여 오히려 불편하기 때문에 제한을 둡니다.
5개라는 숫자는 경험적으로 적당한 개수입니다. 마지막으로, db.pinnedMessages.create로 고정 정보를 저장합니다.
어떤 그룹의 어떤 메시지를, 누가, 언제 고정했는지 모든 정보를 기록합니다. order 필드에는 pinnedCount + 1을 넣어서 새로 고정되는 메시지가 가장 마지막 순서로 들어가도록 합니다.
그리고 모든 그룹 멤버에게 알림을 보내서 새로운 메시지가 고정되었음을 알립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중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새로 들어온 멤버도 고정된 메시지만 보면 필수 정보를 바로 파악할 수 있고, 기존 멤버들도 필요할 때마다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개수 제한을 통해 정말 중요한 정보만 선별하여 고정하게 되어 정보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실전 팁
💡 고정 메시지 목록 조회 API를 만들 때는 order 필드로 정렬하세요. 사용자가 보는 순서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고정 메시지의 순서를 변경하는 API도 추가하세요. 드래그 앤 드롭으로 순서를 바꿀 수 있으면 사용자 경험이 훨씬 좋아집니다.
💡 원본 메시지가 삭제되면 고정도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트리거나 캐스케이드 삭제를 설정하세요. 삭제된 메시지가 고정되어 있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 고정 메시지에 만료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면 좋습니다. "이벤트 안내" 같은 시한성 정보는 자동으로 고정 해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에서는 고정 메시지를 접었다 펼 수 있는 UI를 제공하세요. 화면이 작은 모바일에서 항상 펼쳐져 있으면 불편할 수 있습니다.
4. 그룹_검색_기능
시작하며
여러분이 참여 중인 그룹 채팅이 20개, 30개가 넘어가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필요한 그룹을 찾으려고 목록을 한참 스크롤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이런 문제는 그룹 채팅 앱을 오래 사용할수록 심해집니다. 회사 프로젝트, 동호회, 친구 모임, 스터디 그룹 등이 쌓이면서 그룹 목록이 엄청나게 길어지고, 원하는 그룹을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특히 비슷한 이름의 그룹이 여러 개 있으면 더욱 헷갈립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그룹 검색 기능입니다.
그룹 이름이나 설명으로 빠르게 필터링하여 원하는 그룹을 즉시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그룹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매칭되는 그룹만 빠르게 찾아주는 필터링 시스템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사용자가 앱을 오래 쓸수록 참여하는 그룹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원이라면 "2024 Q4 프로젝트", "마케팅팀", "사내 축구동호회" 등 업무와 취미 관련 그룹이 수십 개씩 쌓입니다.
이때 검색 없이 스크롤만으로 찾는다면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기존에는 그룹 목록을 끝까지 스크롤하거나 즐겨찾기로 일부만 관리했다면, 이제는 검색으로 즉시 원하는 그룹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룹 검색의 핵심 특징은 네 가지입니다. 첫째, 부분 일치 검색을 지원하여 정확한 이름을 몰라도 찾을 수 있습니다.
둘째, 그룹 이름뿐만 아니라 설명(description)도 검색 대상에 포함합니다. 셋째,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아서 사용자 편의성이 높습니다.
넷째, 검색 결과를 최근 활동 순으로 정렬하여 자주 사용하는 그룹이 먼저 나옵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검색 정확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코드 예제
// 그룹 검색 API
app.get('/api/groups/search', async (req, res) => {
const { keyword, userId } = req.query;
if (!keyword || keyword.trim().length < 2) {
return res.status(400).json({
error: '검색어는 최소 2글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
}
// 사용자가 참여 중인 그룹만 검색
const groups = await db.groups.findAll({
where: {
// 그룹 이름 또는 설명에서 검색어 포함 여부 확인 (대소문자 무시)
[Op.or]: [
{ name: { [Op.iLike]: `%${keyword}%` } },
{ description: { [Op.iLike]: `%${keyword}%` } }
]
},
include: [{
model: db.groupMembers,
where: { userId }, // 사용자가 멤버인 그룹만
required: true
}],
// 최근 활동이 있는 그룹부터 표시
order: [['lastActivityAt', 'DESC']],
limit: 20 // 결과 개수 제한
});
res.json({
success: true,
groups,
count: groups.length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로 참여 중인 그룹을 빠르게 찾아주는 것입니다. 마치 도서관에서 책을 찾을 때 제목이나 저자로 검색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첫 번째로, 쿼리 파라미터에서 keyword(검색어)와 userId(누가 검색하는지)를 받아옵니다. 그리고 검색어가 비어있거나 2글자 미만이면 400 에러를 반환합니다.
1글자로 검색하면 너무 많은 결과가 나와서 오히려 불편하고, 데이터베이스에도 부담이 되기 때문에 최소 길이를 제한합니다. 두 번째로, 실제 검색을 수행합니다.
where 조건에서 [Op.or]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또는"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룹 이름(name)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거나, 그룹 설명(description)에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결과에 포함됩니다.
[Op.iLike]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부분 일치 검색입니다. %${keyword}%에서 %는 "앞뒤에 무엇이 있어도 상관없다"는 의미로, "프로젝트"라고 검색하면 "2024 프로젝트 A"도 "신규 프로젝트"도 모두 찾아줍니다.
세 번째로, includ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참여하고 있는 그룹만 필터링합니다. 아무리 이름이 일치해도 자신이 멤버가 아닌 그룹은 검색 결과에 나오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required: true를 설정하여 반드시 멤버 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order로 최근 활동 순으로 정렬하고, limit으로 최대 20개까지만 반환합니다.
너무 많은 결과를 한 번에 보내면 화면이 복잡해지고 네트워크 부담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수십, 수백 개의 그룹 속에서도 원하는 그룹을 몇 초 안에 찾을 수 있습니다.
키워드만 입력하면 즉시 결과가 나오고, 대소문자나 정확한 철자를 몰라도 부분 일치로 찾아주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좋습니다.
실전 팁
💡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인기 검색어나 추천 검색어 기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보여주면 유용합니다.
💡 검색 결과가 없을 때는 유사한 그룹을 추천해주세요. 오타나 유사 단어를 감지하여 "혹시 이것을 찾으시나요?"라고 제안하면 좋습니다.
💡 프론트엔드에서 디바운싱(debouncing)을 적용하세요. 사용자가 타이핑할 때마다 API를 호출하지 않고 입력이 멈춘 후 0.5초 뒤에 호출하면 서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검색 기록을 로컬에 저장하여 최근 검색어 기능을 제공하세요. 사용자가 같은 검색을 반복할 때 빠르게 재검색할 수 있습니다.
💡 전문 검색(Full-Text Search)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하면 성능이 크게 향상됩니다. PostgreSQL의 경우 tsvector와 tsquery를 사용하세요.
5. 멤버_멘션_기능
시작하며
여러분이 활발한 그룹 채팅에서 특정 사람에게 질문이나 요청을 했는데, 그 사람이 수많은 메시지 속에서 자신에게 온 메시지를 놓친 경험이 있나요? 답답하고 시간만 낭비되는 상황입니다.
이런 문제는 멤버가 많은 그룹일수록 더 심각합니다. 하루에도 수백 개의 메시지가 오가는 채팅방에서 자신과 관련된 메시지만 골라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중요한 업무 요청이나 질문이 묻혀버려서 일정이 늦어지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멤버 멘션(@) 기능입니다.
특정 사람의 이름 앞에 @를 붙여서 호출하면, 그 사람에게 알림이 가고 자신이 언급된 메시지만 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멤버 멘션 기능은 메시지에 @username 형태로 특정 사용자를 태그하여 그 사람의 주의를 끌고 알림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실무에서 그룹 채팅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다양한 대화를 합니다. 예를 들어, 10명이 참여하는 개발팀 채팅방에서 "철수씨, 이번 배포 일정이 언제인가요?"라고 물었는데, 철수씨가 다른 대화에 집중하고 있으면 메시지를 놓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철수 이번 배포 일정이 언제인가요?"라고 멘션하면, 철수씨에게 알림이 가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사람 이름을 그냥 텍스트로 적거나 별도로 DM을 보내야 했다면, 이제는 그룹 채팅 안에서 멘션으로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멘션 기능의 핵심 특징은 네 가지입니다. 첫째, 메시지 내에서 @username 패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멘션으로 변환합니다.
둘째, 멘션된 사용자에게 즉시 푸시 알림을 보냅니다. 셋째, 멘션된 메시지만 따로 모아볼 수 있는 필터 기능을 제공합니다.
넷째, @all이나 @everyone 같은 전체 멘션도 지원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그룹 내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크게 높입니다.
코드 예제
// 메시지 전송 시 멘션 처리
app.post('/api/groups/:groupId/messages', async (req, res) => {
const { groupId } = req.params;
const { content, userId } = req.body;
// 메시지 저장
const message = await db.messages.create({
groupId,
content,
userId,
createdAt: new Date()
});
// 메시지에서 멘션 추출 - @username 패턴 찾기
const mentionPattern = /@(\w+)/g;
const mentions = content.match(mentionPattern);
if (mentions && mentions.length > 0) {
// @를 제거하고 실제 username만 추출
const usernames = mentions.map(m => m.substring(1));
// username으로 실제 사용자 ID 찾기
const mentionedUsers = await db.users.findAll({
where: { username: { [Op.in]: usernames } }
});
// 멘션 정보를 별도 테이블에 저장
for (const user of mentionedUsers) {
await db.mentions.create({
messageId: message.id,
mentionedUserId: user.id,
mentionedBy: userId,
isRead: false
});
// 멘션된 사용자에게 알림 전송
await sendNotification(user.id, {
type: 'mention',
message: `${message.username}님이 회원님을 멘션했습니다`,
groupId,
messageId: message.id
});
}
}
res.json({ success: true, message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메시지를 저장하면서 @로 시작하는 멘션을 찾아서 해당 사용자들에게 알림을 보내는 것입니다. 마치 교실에서 선생님이 학생 이름을 부르면 그 학생이 반응하는 것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db.messages.create로 어떤 그룹에, 누가, 무슨 내용을, 언제 보냈는지 모두 기록합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메시지 저장 과정입니다. 두 번째로, 메시지 내용(content)에서 멘션을 찾아냅니다.
정규표현식 /@(\w+)/g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다음에 알파벳이나 숫자가 오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content.match로 이 패턴과 일치하는 모든 부분을 찾아냅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철수 @영희 반갑습니다"라는 메시지에서 ["@철수", "@영희"]를 추출합니다. 세 번째로, 추출한 멘션에서 @를 제거하고 실제 username만 가져옵니다.
substring(1)로 첫 글자(@)를 빼면 ["철수", "영희"]가 됩니다. 그리고 db.users.findAll로 이 username들에 해당하는 실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습니다.
마지막으로, 찾은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두 가지 작업을 합니다. 첫째, db.mentions.create로 멘션 정보를 저장합니다.
어떤 메시지에서 누가 누구를 멘션했는지, 읽었는지 여부를 기록합니다. 둘째, sendNotification으로 멘션된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을 보냅니다.
"OOO님이 회원님을 멘션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해당 메시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포함합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그룹 채팅에서 특정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멘션된 사람은 즉시 알림을 받아서 놓치지 않고, 나중에 자신이 멘션된 메시지만 따로 모아볼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특히 멤버가 많은 그룹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실전 팁
💡 자동완성 기능을 추가하세요. 사용자가 @를 입력하면 그룹 멤버 목록이 나타나서 선택할 수 있게 하면 오타를 줄이고 편의성이 높아집니다.
💡 존재하지 않는 username을 멘션하면 에러 대신 일반 텍스트로 처리하세요. 멘션 실패로 메시지 전송이 막히면 사용자가 불편해합니다.
💡 @all이나 @everyone 같은 전체 멘션은 관리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세요. 일반 멤버가 전체 멘션을 남용하면 알림 피로도가 높아집니다.
💡 한 메시지에서 동일한 사람을 여러 번 멘션해도 알림은 한 번만 가도록 중복을 제거하세요. Set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멘션 통계를 수집하세요. 누가 누구를 자주 멘션하는지 분석하면 팀 내 소통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조직 관리에 유용합니다.
6. 멘션_알림_처리
시작하며
여러분이 하루에 수십 개의 멘션 알림을 받는다고 상상해보세요. 어떤 것은 중요한 업무 요청이고, 어떤 것은 단순한 잡담인데, 모두 같은 방식으로 알림이 온다면 정말 혼란스럽겠죠?
이런 문제는 알림 시스템이 제대로 설계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사용자는 중요한 알림과 덜 중요한 알림을 구분할 수 없고, 결국 모든 알림을 무시하게 되거나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심지어 정말 중요한 알림을 놓치는 경우도 생깁니다. 바로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체계적인 멘션 알림 처리 시스템입니다.
알림의 우선순위, 읽음 상태, 그룹핑 등을 통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알림을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개요
간단히 말해서, 멘션 알림 처리는 사용자가 받은 멘션 알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왜 이 기능이 필요할까요?
멘션 기능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사용자가 알림을 받았을 때 어떻게 확인하고, 읽음 처리하고, 필요하면 나중에 다시 보는지까지 고려해야 완성된 기능이 됩니다.
예를 들어, 오전에 10개의 멘션을 받았는데 아직 3개만 확인했다면, 나머지 7개를 쉽게 찾아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존에는 알림을 받으면 그냥 사라지거나 무한히 쌓이기만 했다면, 이제는 읽음/안 읽음 상태를 관리하고 필요한 알림만 골라볼 수 있습니다.
멘션 알림 처리의 핵심 특징은 네 가지입니다. 첫째, 읽음/안 읽음 상태를 명확히 구분하여 관리합니다.
둘째, 읽지 않은 멘션 개수를 뱃지로 표시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셋째, 멘션 알림 목록을 시간순으로 제공하여 최신 것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넷째, 알림을 클릭하면 해당 메시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사용자가 멘션을 놓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코드 예제
// 읽지 않은 멘션 조회 API
app.get('/api/users/:userId/mentions/unread', async (req, res) => {
const { userId } = req.params;
// 읽지 않은 멘션 목록 가져오기
const unreadMentions = await db.mentions.findAll({
where: {
mentionedUserId: userId,
isRead: false
},
include: [
{
model: db.messages,
include: [
{ model: db.users, as: 'sender' }, // 메시지 보낸 사람
{ model: db.groups } // 어느 그룹인지
]
}
],
order: [['createdAt', 'DESC']], // 최신순 정렬
limit: 50 // 최대 50개까지
});
res.json({
success: true,
mentions: unreadMentions,
count: unreadMentions.length
});
});
// 멘션 읽음 처리 API
app.patch('/api/mentions/:mentionId/read', async (req, res) => {
const { mentionId } = req.params;
const { userId } = req.body;
// 해당 멘션이 실제로 자신의 것인지 확인
const mention = await db.mentions.findOne({
where: { id: mentionId, mentionedUserId: userId }
});
if (!mention) {
return res.status(404).json({ error: '멘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
}
// 읽음 처리
await db.mentions.update(
{ isRead: true, readAt: new Date() },
{ where: { id: mentionId } }
);
res.json({ success: true, message: '멘션을 읽음 처리했습니다' });
});
설명
이 코드가 하는 일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온 멘션 알림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마치 우편함에 온 편지를 확인하고 읽은 것과 안 읽은 것을 구분하는 것과 같습니다.
첫 번째 API는 읽지 않은 멘션을 조회하는 기능입니다. db.mentions.findAll로 조건에 맞는 멘션들을 찾는데, where 절에서 mentionedUserId가 현재 사용자이고 isRead가 false인 것만 가져옵니다.
include를 사용하여 멘션 정보만이 아니라 관련된 메시지 내용, 누가 보냈는지, 어떤 그룹인지까지 모든 정보를 함께 가져옵니다. 이렇게 하면 클라이언트가 추가 요청 없이 바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order로 최신순 정렬을 하여 가장 최근에 받은 멘션이 먼저 나오게 합니다. 사용자는 보통 최신 알림부터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limit을 50으로 설정하여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지 않도록 합니다. 만약 읽지 않은 멘션이 100개가 넘으면 페이지네이션을 추가로 구현하면 됩니다.
두 번째 API는 멘션을 읽음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가 멘션 알림을 클릭하여 메시지를 확인했을 때 호출됩니다.
먼저 해당 멘션이 정말 자신에게 온 것인지 확인합니다. 다른 사람의 멘션을 읽음 처리하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확인이 완료되면 db.mentions.update로 isRead를 true로 바꾸고, readAt에 현재 시각을 기록합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언제 읽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이 코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멘션 알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읽지 않은 멘션만 모아서 볼 수 있고, 확인한 것은 읽음 처리하여 목록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앱의 뱃지에 읽지 않은 멘션 개수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해야 할 알림이 몇 개인지 알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실전 팁
💡 일괄 읽음 처리 API를 추가하세요. 사용자가 "모두 읽음 처리" 버튼을 누르면 한 번에 모든 멘션을 읽음으로 표시하면 편리합니다.
💡 푸시 알림 설정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하세요. 특정 그룹의 멘션은 알림을 끄거나, 중요한 그룹만 소리를 켤 수 있으면 좋습니다.
💡 멘션 알림을 그룹별로 그룹핑하여 표시하세요. 같은 그룹에서 온 여러 멘션을 하나로 묶어서 "프로젝트A 그룹에서 5개의 새로운 멘션"처럼 보여주면 알림 목록이 깔끔해집니다.
💡 읽지 않은 멘션이 7일 이상 지나면 자동으로 읽음 처리하거나 아카이브하세요. 너무 오래된 알림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멘션 통계 대시보드를 제공하세요. "이번 주에 받은 멘션 10개", "평균 응답 시간 2시간" 같은 정보는 사용자가 자신의 소통 패턴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댓글 (0)
함께 보면 좋은 카드 뉴스
그룹 채팅 메시지 및 권한 관리 완벽 가이드
실시간 그룹 채팅에서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부터 읽음 상태 관리, 관리자와 일반 멤버의 권한 설정까지 완벽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배워봅니다.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 검증 미들웨어까지 포함된 완벽한 가이드입니다.
그룹 멤버 관리 시스템 완벽 가이드
초대부터 강퇴까지, 실시간 그룹 채팅 앱의 멤버 관리 시스템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배워봅니다. 멤버 초대, 권한 관리, 온라인 상태 표시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기능들을 다룹니다.
그룹 채팅방 생성 및 관리 완벽 가이드
실시간 그룹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핵심 기능들을 단계별로 배워봅니다. API 설계부터 Socket.io를 활용한 실시간 통신, 그룹 관리 기능까지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완전한 가이드입니다.
메시지 기능 확장 완벽 가이드
채팅 앱의 메시지 기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메시지 수정, 삭제부터 이모지 반응, 답장, 전달 기능까지 실무에서 꼭 필요한 고급 기능들을 단계별로 구현해봅니다. 초급 개발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설명합니다.
실시간 채팅의 핵심 읽음 표시와 타이핑 인디케이터 완벽 가이드
카카오톡이나 슬랙처럼 메시지를 읽었는지 표시하고, 상대방이 타이핑 중인지 보여주는 기능을 직접 구현해보세요. 실시간 소켓 통신부터 상태 관리, 성능 최적화까지 실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